동국정운 색인/소개

위키책, 위키책

동국정운 색인은...[+/-]

동국정운을 위한 도우미 문서다. 옛 한글 표기는 첫가끝이며, 색인에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은 제거하거나 기호로 표시하였다.

표기[+/-]

권이나 쪽 및 소릿값을 먼저 보이고, 한자들을 그 뒤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권:쪽 » 소릿값 ︙ ...

정렬 순서[+/-]

동국정운의 한자음들은 끝소리인 종성을 기준으로, 중성 > 초성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각 권의 독립성은 무시된다. 각 종중초성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종성 - ㆁ/ㄱ, ㄴ/ㅭ, ㅁ/ㅂ, ㅱ, ㅇ.
중성 - ㆍ ㅡ ㅣ ㆎ ㅢ ㅚ, ㅐ, ㅙ, ㅟ, ㆌ, ㅖ ㆋ, ㅗ ㅛ, ㅏ ㅑ ㅘ, ㅜ ㅠ, ㅓ ㅕ ㅝ ㆊ.
초성 - ㄱㅋㄲㆁ, ㄷㅌㄸㄴ, ㅂㅍㅃㅁ, ㅈㅊㅉㅅㅆ, ㆆㅎㆅㅇ, ㄹㅿ.

동국정운의 한자음에 대한 표기는 초중종성을 모두 갖추어진 형태로 하기 때문에 마지막 소리(받침)이 없는 경우는 가장 마지막에 놓여있다.

대표 한자 (소릿값)[+/-]

소릿값을 표기하기 위한 대표 한자는 해당 자음(초성)으로 일괄 대치하였다.

나타낼 수 없는 한자[+/-]

한 글자로 나타낼 수 없는 한자는 Ideographic Description Characters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예시: ⿰糸𣳾). 한 글자로 나타낼 수 없지만 유니코드에 존재하는 한자와의 자형 차이가 사소한 경우에는 ‹ ›로 둘러쌌다(예시: ‹𧁽›).

또한, 같은 코드의 글자지만 나라별 글꼴 마다 모양이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에도 ¹ 을 덧대었다(예시: 兓¹. ⿰兂兂/⿰旡旡).

그리고 빠져 있는 글자들은 ❌로 대신하였다.

성조를 위한 기호[+/-]

평상거입의 사성조의 경우 상성은 ˧˦, 거성은 ˦으로 표시하며, 평성은 ˧, 입성은 부정 기호(¬)로 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