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입문/돌 잇기
바둑에서 집을 짓는 것은 중요하지만, 집을 짓는 것만큼이나 돌을 잇고 끊는 것도 중요합니다.
돌 잇기[+/-]
이 그림을 잘 보아 주십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는 가로로 줄지어서 이어진 돌이고, b는 세로로 줄지어서 이어진 돌입니다. c는 비스듬하게 줄지어서 이어진 돌입니다.
a와 b처럼 이어진 돌은 완전하게 이어진 돌로써, 이렇게 이으면 전혀 끊어지지 않으며 또한 살 때도 같이 살고 죽을 때도 같이 죽는 돌이 됩니다.
c처럼 돌을 이은 모양을 '마늘모'라고 부릅니다. 분명히 이어져 있기는 하지만, a나 b와는 확실히 다른 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끊어질 여지가 남아있다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흑이 상변에 집을 크게 지어놓고 백이 하변에 집을 좀 더 작게 지어놓은 모양입니다. 이렇게만 놓고 본다면 확실히 흑이 집을 잘 지어 놓은듯한 모양이지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되어 있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얼핏 보기에는 이 그림에서의 흑도 이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백 △에 의해 흑돌이 둘로 갈라져서 흑 △가 고립되어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흑이 백 △를 잡아내려 하지만, 수순이 이 그림처럼 진행되어 흑 △는 꼼짝없이 잡히게 되었고 백 △의 집요한 공격으로 흑의 집이 줄어들어 매우 곤란하게 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돌을 잘 잇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상대가 자신의 돌을 끊으려 할 때 잇는 방법입니다.
먼저, 이 그림부터 보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흑돌이 두 개 빗대어진 채로 있습니다. 백이 붉은 동그라미에 두면 흑돌이 끊어집니다. 어떻게 이어야 할까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두면 두 흑돌이 완전히 이어집니다. 이렇게 단단하게 잇는 모양을 '꽉이음'이라고 부릅니다. 전혀 끊김이 없는 확실한 이음이지만, 효율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런 경우는 또 어떨까요? 흑이 이 돌들을 잇고 싶지만, a로 꽉이음을 하면 백이 b에 두어서 끊고, b로 꽉이음을 하면 백이 a에 두어서 끊어 버립니다. 그렇다면 이 그림에서 흑은 이 돌들을 이을 방법이 과연 없는 것일까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렇지 않습니다. 이렇게 이으면 양쪽으로 다 이어집니다. 백이 바로 끊기 위해 a에 두면 그 즉시 스스로 단수가 되므로 흑이 b에 두면 따먹히고, 그렇다고 해서 백이 b에 두어도 흑이 a에 두어 이으면 완전히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모양을 '호구'라고 부르며, 마늘모로 호구를 쳐서 잇는 모양을 '호구이음'이라고 부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우에 따라서는 이렇게 잇는 것도 좋습니다. 이 모양을 '날일자이음'이라고 부릅니다.
세력권 형성[+/-]
상대에게 공격받고 있지 않을 땐 단단히 잇는 방법이 오히려 세력권 형성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모양을 '빈삼각'이라고 부릅니다.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꽉이음을 할 때에는 '꼬부림'이라 하여 좋은 모양이지만, 상대에게 공격받지 않고 있을 때는 반대로 나쁜 모양이 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냥 일렬로 이어진 3개의 돌은 활로가 8군데이지만, 빈삼각으로 이어진 3개의 돌은 활로가 한 군데 줄어서 7군데가 됩니다.
이처럼 상대에게 공격당하지 않을 때에는 적당히 거리를 두어 잇는 것이 좋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원래 돌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한 칸 내지 세 칸의 간격을 두고 이어서 두는 것을 뜀이라고 부릅니다. 이 그림에서는 흑이 좌하귀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한 칸 뛰는 수를 둔 예로, 흑 1 대신에 붉은 동그라미에 두어도 한 칸 뜀이 됩니다. a에 두면 두 칸 뜀, b에 두면 세 칸 뜀이 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원래 돌에서 앞으로 두 칸에서 옆으로 한 칸 옮겨서 날일자로 두어도 됩니다. 방향은 상관없기 때문에, 흑 1 대신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7곳 중 1곳을 골라서 두어도 날일자로 둔 것이 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앞으로 세 칸에서 옆으로 한 칸 옮겨 두는 행마를 '눈목자 행마'라고 부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앞으로 두 칸에서 옆으로 두 칸 옮겨 두는 행마를 '밭전자 행마'라고 부릅니다. 다만, 밭전자 행마의 단점은 두 돌의 사이가 취약하다는 점입니다. 이 그림에서 백이 a에 두면 두 흑이 완전히 끊어져 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돌이 이렇게 이어져 있는 것을 '쌍립'이라고 부릅니다. 흑 △와 흑 □ 사이가 한 줄 떨어져 있지만, 백이 두 흑을 끊으려면 a와 b에 두 수를 연속으로 둬야만 합니다. 백이 a에 두면 흑이 b로 바로 잇거나 c에 두어 단수를 치고, 백이 b에 두면 흑이 a로 바로 잇거나 d에 두어 단수를 칩니다. 그러므로 이 모양에서 두 흑은 서로 이어져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