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입문/돌 잇기
바둑에서 집을 짓는 것은 중요하지만, 집을 짓는 것만큼이나 돌을 잇고 끊는 것도 중요합니다.
돌 잇기
[+/-]이 그림을 잘 보아 주십시오.
a는 가로로 줄지어서 이어진 돌이고, b는 세로로 줄지어서 이어진 돌입니다. c는 비스듬하게 줄지어서 이어진 돌입니다.
a와 b처럼 이어진 돌은 완전하게 이어진 돌로써, 이렇게 이으면 전혀 끊어지지 않으며 또한 살 때도 같이 살고 죽을 때도 같이 죽는 돌이 됩니다.
c처럼 돌을 이은 모양을 '마늘모'라고 부릅니다. 분명히 이어져 있기는 하지만, a나 b와는 확실히 다른 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끊어질 여지가 남아있다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겠습니다.
흑이 상변에 집을 크게 지어놓고 백이 하변에 집을 좀 더 작게 지어놓은 모양입니다. 이렇게만 놓고 본다면 확실히 흑이 집을 잘 지어 놓은듯한 모양이지만,
이렇게 되어 있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얼핏 보기에는 이 그림에서의 흑도 이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백 △에 의해 흑돌이 둘로 갈라져서 흑 △가 고립되어 있습니다.
흑이 백 △를 잡아내려 하지만, 수순이 이 그림처럼 진행되어 흑 △는 꼼짝없이 잡히게 되었고 백 △의 집요한 공격으로 흑의 집이 줄어들어 매우 곤란하게 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돌을 잘 잇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상대가 자신의 돌을 끊으려 할 때 잇는 방법입니다.
먼저, 이 그림부터 보겠습니다.
흑돌이 두 개 빗대어진 채로 있습니다. 백이 붉은 동그라미에 두면 흑돌이 끊어집니다. 어떻게 이어야 할까요?
이렇게 두면 두 흑돌이 완전히 이어집니다. 이렇게 단단하게 잇는 모양을 '꽉이음'이라고 부릅니다. 전혀 끊김이 없는 확실한 이음이지만, 효율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또 어떨까요? 흑이 이 돌들을 잇고 싶지만, a로 꽉이음을 하면 백이 b에 두어서 끊고, b로 꽉이음을 하면 백이 a에 두어서 끊어 버립니다. 그렇다면 이 그림에서 흑은 이 돌들을 이을 방법이 과연 없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렇게 이으면 양쪽으로 다 이어집니다. 백이 바로 끊기 위해 a에 두면 그 즉시 스스로 단수가 되므로 흑이 b에 두면 따먹히고, 그렇다고 해서 백이 b에 두어도 흑이 a에 두어 이으면 완전히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모양을 '호구'라고 부르며, 마늘모로 호구를 쳐서 잇는 모양을 '호구이음'이라고 부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렇게 잇는 것도 좋습니다. 이 모양을 '날일자이음'이라고 부릅니다.
세력권 형성
[+/-]상대에게 공격받고 있지 않을 땐 단단히 잇는 방법이 오히려 세력권 형성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겠습니다.
이 모양을 '빈삼각'이라고 부릅니다.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꽉이음을 할 때에는 '꼬부림'이라 하여 좋은 모양이지만, 상대에게 공격받지 않고 있을 때는 반대로 나쁜 모양이 됩니다.
그냥 일렬로 이어진 3개의 돌은 활로가 8군데이지만, 빈삼각으로 이어진 3개의 돌은 활로가 한 군데 줄어서 7군데가 됩니다.
이처럼 상대에게 공격당하지 않을 때에는 적당히 거리를 두어 잇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원래 돌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한 칸 내지 세 칸의 간격을 두고 이어서 두는 것을 뜀이라고 부릅니다. 이 그림에서는 흑이 좌하귀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한 칸 뛰는 수를 둔 예로, 흑 1 대신에 붉은 동그라미에 두어도 한 칸 뜀이 됩니다. a에 두면 두 칸 뜀, b에 두면 세 칸 뜀이 됩니다.
이렇게 원래 돌에서 앞으로 두 칸에서 옆으로 한 칸 옮겨서 날일자로 두어도 됩니다. 방향은 상관없기 때문에, 흑 1 대신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7곳 중 1곳을 골라서 두어도 날일자로 둔 것이 됩니다.
이렇게 앞으로 세 칸에서 옆으로 한 칸 옮겨 두는 행마를 '눈목자 행마'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앞으로 두 칸에서 옆으로 두 칸 옮겨 두는 행마를 '밭전자 행마'라고 부릅니다. 다만, 밭전자 행마의 단점은 두 돌의 사이가 취약하다는 점입니다. 이 그림에서 백이 a에 두면 두 흑이 완전히 끊어져 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돌이 이렇게 이어져 있는 것을 '쌍립'이라고 부릅니다. 흑 △와 흑 □ 사이가 한 줄 떨어져 있지만, 백이 두 흑을 끊으려면 a와 b에 두 수를 연속으로 둬야만 합니다. 백이 a에 두면 흑이 b로 바로 잇거나 c에 두어 단수를 치고, 백이 b에 두면 흑이 a로 바로 잇거나 d에 두어 단수를 칩니다. 그러므로 이 모양에서 두 흑은 서로 이어져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