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실험 및 관찰/환경 적응
식물의 환경 적응
[+/-]개요
[+/-]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주변 환경에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관찰에서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식물들이 보여주는 독특한 생활 방식과 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표본 식물의 환경 적응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들을 생태를 관찰하여 그들의 독특한 환경 적응 예를 살펴보자.
실험관찰
[+/-]① 담쟁이덩굴의 환경 적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자.② 선인장의 환경 적응의 특징을 알아보자.③ 나팔꽃의 환경 적응에 대해서 관찰해 보자.④ 기타 주요 식물들의 환경 적응 사례를 조사해 보자.
결과
[+/-]① 담쟁이덩굴은 바위, 나무, 돌담 등에 붙어서 살기에 알맞게 줄기가 덩굴로 되어 있다. 잎과 마주나는 덩굴손은 갈라져서 끝에 흡반(빨판)이 생기는데 이 흡반을 이용해서 떨어지지 않고 높은 곳까지 자라 오른다.② 선인장의 가시는 잎이 변한 것으로 잎의 증산 작용으로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양분은 녹색의 줄기가 햇빛을 받아 합성한다. 뿌리는 무수한 잔뿌리가 그물망처럼 퍼져 있어 수분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으며, 줄기는 다육질로 되어 많은 물을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③ 나팔꽃은 줄기만으로 곧게 설 수가 없으므로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아 위로 올라가면서 자란다.④ 기타 부레옥잠은 잎자루 속에 공기가 들어 있어 물 위에 떠서 생활할 수 있으며, 민들레는 햇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게 돌려나 있다. 또 벚나무나 목련의 겨울눈은 두꺼운 껍질이나 솜털로 싸여 있어 추위를 이길 수 있다.
핵심요점
[+/-]식물의 환경 적응은 식물의 종류만큼이나 많고 다양하다.
다양한 형태의 식물 번식
[+/-]효과적인 번식을 위해서 중 식물들이 씨를 퍼뜨리는 방법을 알아본다.
실험관찰
[+/-]① 도깨비바늘의 어떤 방식으로 씨를 퍼뜨리는지 살펴보자.② 민들레는 씨를 퍼뜨리는 방식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자.③ 봉숭아와 콩은 어떻게 씨를 퍼뜨리는지 관찰해 보자.④ 단풍나무와 소나무 씨는 어떻게 퍼져가는지 알아보자.
결과
[+/-]① 도깨비바늘의 씨는 갈고리 같은 것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동물의 털에 달라붙어 그 매개체가 움직이는 먼곳까지 씨를 퍼뜨린다. ② 민들레씨에는 낙하산처럼 생긴 갓털이 붙은 긴 자루가 있어서 바람이 불면 사방으로 날려 퍼진다. ③ 봉숭아와 콩은 다 여문 껍질이 터지면 탄성에 의해서 멀리까지 튀어나가게 한다. ④ 단풍나무와 소나무는 씨에 날개가 달려 있어서 바람이 불면 빙글빙글 돌면서 주변으로 날아간다.
핵심요점
[+/-]식물은 번식을 위해서 환경에 따라 가장 효율적이라고 여겨지는 다채로운 방법들을 동원하고 있다.
이 문서는 Daum Communications(다음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백과사전의 지식 공유 프로젝트에서 공개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공개된 자료의 저작권은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혹은 Creative commons licenses 3.0에 따릅니다. 물론 이 문서는 자유 편집이 가능하며 추가 편집이 계속되어 빌려온 바탕 자료와 서로 내용 비교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면 이 안내 템플릿을 제거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