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판은 평평한 네모판 위에 가로줄과 세로줄이 네모반듯하게 교차한 형태로, 가로줄과 세로줄의 수는 같습니다. 보편적으로는 가로줄과 세로줄이 19줄씩으로 된 판을 사용합니다. 또한, 연습용이나 간소한 대국 등의 용도로는 가로줄과 세로줄이 9줄씩으로 된 바둑판이나 13줄씩으로 된 바둑판을 사용합니다.
19줄 바둑판
또한, 바둑판에서 각 부분에 따라 여러 명칭이 있는데, 네 모퉁이쪽을 귀, 네 모서리쪽을 변, 귀와 변을 제외한 바둑판 가운데의 한복판을 중앙이라고 부릅니다. 귀와 변의 명칭은 그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바둑판에서 각 부분의 명칭과 위치
좌상귀
상변
우상귀
좌변
중앙
우변
좌하귀
하변
우하귀
귀와 변, 중앙을 보면 큰 점이 하나씩 모두 9개가 있습니다. 이 점들을 화점이라고 부릅니다. 특히, 정중앙의 화점은 천원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귀는 초반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이므로 귀의 화점에 인접한 착점도 따로 부르는 이름이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귀의 화점(4-4,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부분)에 인접한 착점은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a: 삼삼(3-3)
b: 소목(3-4 또는 4-3)
c: 외목(3-5 또는 5-3)
d: 고목(4-5 또는 5-4)
e: 오오(5-5)
f: 대외목(3-6 또는 6-3)
g: 대고목(4-6 또는 6-4)
이들 중 맨 처음에 흔히 착수하는 지점은 화점을 포함해서 삼삼·소목·외목·고목의 5가지입니다.
또한, 가로줄과 세로줄도 부르는 이름이 따로 있습니다. 맨 가장자리의 가로줄과 세로줄을 1선이라고 부르며, 그 다음은 2선, 또 그 다음은 3선 하는 식으로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선 이름의 숫자도 커집니다. 특히, 1선부터 4선까지는 또 다른 이름이 있습니다.
1선 - 사망선: 돌이 1선을 기어가면 집을 짓지 못하여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렇게 부릅니다.
2선 - 패망선: 돌이 2선을 기어가면 집을 지을 수는 있으나 이득이 너무 작아서 실패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렇게 부릅니다.
3선 - 실리선: 3선에 돌을 두면 집을 지을 때 이득을 크게 볼 수도 있고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이렇게 부릅니다.
4선 - 세력선: 4선에 돌을 두면 세력 싸움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부릅니다.
바둑판에서 착점의 위치를 좌표로 표시할 때는 다음 그림과 같이 라틴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합니다.
A
B
C
D
E
F
G
H
J
K
L
M
N
O
P
Q
R
S
T
19
19
18
18
17
17
16
16
15
15
14
14
13
13
12
12
11
11
10
10
9
9
8
8
7
7
6
6
5
5
4
4
3
3
2
2
1
1
A
B
C
D
E
F
G
H
J
K
L
M
N
O
P
Q
R
S
T
-_-바둑판좀 수정부탁합니다
좌표를 표시할 때는 가로 위치-세로 위치 순으로 쓰는데, 가로 위치(세로줄)는 라틴 문자로 좌변으로부터 A에서 T까지 쓰되 H 다음은 J로 넘어갑니다. 세로 위치(가로줄)는 하변으로부터 1에서 19까지 씁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흑돌의 위치는 Q16, 백돌의 위치는 D4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