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에서는 성에 관계없이 조격(I)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변한다. 물론, 남성유정일 경우에는 항상 그렇듯이 대격(A)에서 생격(G)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각각의 성에 따른 곡용 유형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연자음 명사의 곡용을 따로 외우는 것이 좋다.
수
격
남성유정
남성무정
여성
단수
N
muž
pokoj
tramvaj
A
muže
pokoj
tramvaj
G
muže
pokoje
tramvaje
D
muži/možovi
pokoji
tramvaji
L
muži/možovi
pokoji
tramvaji
I
mužem
pokojem
tramvají
V
muži
pokoji
tramvaji
복수에서 곡용은 각각의 성에 따른 일반적인 변화를 따른다.
남성명사인 경우에는 경자음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변화에 있어 큰 차이가 없다. 단, 경자음-연자음의 차이 때문에 규칙적으로 어미에서도 차이가 날 뿐이다. 대격(A)에서 studenty - muže, 처격(I)에서 studentech - mužích, 조격(L)에서 studenty - muži를 비교해 보면 차이를 알 수 있다.